인재관리술 人 才
(쉬옌許燕 지음, 김택규.유예진 역)
위의 책은 중국의 고전과 역사속의 사례를 인용하여 인재를 관리하는 기술을 다루고 있다. 책의 구성은 제1장 오른팔이 될 사람을 후대하라 부터, 제9장 충성스러운 부하를 얻는 비결로 마무리 되는데 여기서는 제9장에 나오는 부분 중 중요한 부분을 요약.발췌하여 옮겨 보았다. 이책을 통해 리더에게 조직관리와 인재경영에 많은 참고가 될것이라 생각한다. |
1. 몸을 낮추고 人才를 예우하라
내가 남을 한자만큼 존중하면 남은 나를 열자만큼 존중한다.
진의 목공은 송나라의 인재 건숙을 초빙하기 위해 공자 집을 직접 보냈으며 건숙이 왔다는 소식을 듣고 그의 숙소로 직접 찾아가 맞이 하였다. 목공이 건숙에게 가르침을 요청하자
건숙은 “ 군주는 위엄과 인덕을 갖추어야 하며, 천하의 패권을 잡고 싶으면 세가지 일을 경계하라고 하여 작은것을 탐내지 말며, 화를 내지 말고, 조급해 하지 말아야 한다고 함.
2. 관용을 베풀어라
부하의 잘못을 만회할 기회를 주라. 초나라의 장왕이 연회도중 불이 꺼져 신하중의 한명이 애첩을 더듬었을때 애첩이 신하의 갓끈을 잡아 뜯어 왕에게 올리자 왕은 불을 켜지 말고 모든 신하에게 갓끈을 떼게 하여 그 일로 문제를 삼지않을 정도로 부하의 잘못에 대해 관용을 베풀었다.
3. 부하의 심금을 울려라
위 나라의 오기장군은 중국역사상 유명한 군사가로서 용병과 병법이 뛰어나 칭송을 받았다.
오기장군은 여러차례 병사의 몸에 종기를 입으로 빨아주어 병사들을 전장에서 단결시키고 승승장구 하였다. 부하에 대한 감정상의 투자는 소자본으로 막대한 이윤을 얻는 것과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4. 성의로 부하의 마음을 열어라
지성이면 감천이고 성(城)을 공격하는 것은 하책(下策)이고 마음을 공격하는 것은 상책(上策)이다. 부하를 진심으로 대하면 진심으로 보답 받는다. 손책은 태사자를 공격해서 포획 했을때 그를 풀어주고 도독으로 임명하자 태사자는 감동하여 충성을 바치겠다고 다짐했다. 적의 장수 유요가 병사하자 유요의 친구였던 태사자는 적진으로 들어가 유요의 부하들을 회유하여 돌아와 손책의 세력을 확장하게 해주었다. 리더가 성의로써 부하를 대하면 부하는 그 성의에 감화되어 리더를 위해 더 열심히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5. 중요한 인물을 후대하라
훌륭한 리더는 부하의 마음을 살펴 부하를 후대한다. 당의 측천무후는 명재상 적인걸을 등용하여 극도로 예우하며 많은 공을 세우게 했다. 그 결과 태평성대를 이루었다. 평소 측천무후는 적인걸을 나라의 원로 “국로”로 칭했으며 건강을 이유로 여러번 낙향을 청했으나 허락하지 않았다. 그가 조정에 나오면 절을 하지 못하게 할 정도로 배려하며 후대했다.그가 세상을 떳을때 “국로가 세상을 뜨니 황궁이 다 빈듯하구나!” 하며 탄식했다.
측천무후는 이처럼 인재를 중용하고 후대하여 정치가 잘 이루어 지고 인심이 부드러워졌으며, 경제가 발전하여 부흥을 맞게 되었다.
6. 잘못을 벌할때도 여지를 남겨라
리더는 일을 처리할 때 극단적인 결정은 피해야 한다.
적대적인 부하를 너무 궁지에 몰면 안된다. 한가닥 퇴로를 마련해 주는게 좋다. 손자병법에서도 성을 포위할 때는 도망칠 구멍을 마련하고 궁지에 몰린 적은 쫓지 말라고 권한다.
자신에게 적의를 가진 부하라도 극단적으로 대응하면 안된다.
합리적으로 절제있게 대응해 상대를 복종시켜야 한다.
“동해는 가는 물줄기를 마다하지 않아 그렇게 넓고 깊은 바다가 되고
태산은 한줌의 흙도 마다하지 않아 그렇게 높은 산이 되었다.”
(泰山不讓土塊 河海不擇細流, 이사열전)
7. 사람을 두렵게 하는 것보다 부끄럽게 하는게 낫다
치국방략(治國方略)에 “사람을 두렵게 하는 것보다 부끄럽게 하는게 더낫다.” 고 말한다. 부끄러움을 느끼는 사람은 차마 당신을 속이지 못한다. 두려움을 느낀 사람도 감히 당신을 속이지 못한다. 허나 두려워 속이지 못하는 것은 어쩔 수 없어 그러는 것이니, 만약 두렵지 않다면 제멋대로 행동할 것이다. 부끄럽게 하는 것은 자각의 효과지만
두렵게 하는 것은 강제의 효과이다. 제갈량이 만왕 맹획을 일곱 번 잡았다가 놓아줘 마침내 감화시킨 일화는 사람을 두렵게 하는것 보다 부끄럽게 하는 것이 더 낫다 는 것을 입증한다.